최신교육동향
AI 시대, 정답보다 문제 찾는 ‘질문력’ 길러야2017-07-03, |
---|
첨부파일 |
[출처] 조선에듀_중·고등입시_2017. 7. 3.AI 시대, 정답보다 문제 찾는 ‘질문력’ 길러야교육계가 주목하는 ‘질문의 힘’ #유재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매 수업 전 온라인에 강의 자료를 공유한다. 학생들은 게시판에 자료에 대한 질문이나 의견을 올리고, 전체 동료의 게시물을 본 뒤 베스트(Best) 글을 뽑는다. 이것이 수업 준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인공지능(AI) 시대를 앞두고 교육계가 ‘질문’의 힘에 주목하고 있다. 2020년까지 전 세계 직업 중 710만개가 사라지고 AI와 같은 신기술이 그 자리를 채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시점에 기계가 갖추지 못한 인간의 역량으로 거론되는 것이 창의력이다. 전문가들은 창의력을 키울 방법으로 질문력을 주시하고 있다. ◇AI 시대엔 ‘정답 찾기’보다 ‘질문 찾기’ 이는 지난 3월부터 서울대 자연과학대가 진행 중인 ‘교육 개혁 프로젝트’에 참가한 교수들의 생각이다. 프로젝트 총 책임자인 유재준 교수를 포함한 교수 13명은 강의 내용을 토씨 하나 안 놓치고 달달 외우는 서울대생들을 보면서 ‘이래선 안 된다’는 데 의견을 함께했다. 대학원생도 시킨 일은 잘하는데, 자기만의 연구 주제를 찾지 못했다. 중지(衆志)를 모으다 보니 ‘기존 지식을 이해하는 데 그쳐선 좋은 연구를 하는 데 필요한 창의력이 나오기 어렵다. 질문하는 법부터 가르치자’는 결론에 도달했다. 유 교수는 “정답은 AI가 찾으면 된다. 인간에겐 정답 찾는 능력이 아니라 ‘문제 찾는 능력’이 필요한 시대다. 새로운 논제를 발견하려면 끊임없이 다각도로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했다. 프로젝트에 참여 중인 교수들은 자신이 맡은 교양·전공 강의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학생의 질문을 유도하고 있다. 지난 1학기에 질문 및 토론 수업을 시작한 최선호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자기만의 언어가 없는 학생은 창의적 연구를 하기 어렵다. 질문·토론을 통해 스스로 생각을 전개하고 문제 찾아내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했다. ◇학습력·협업력 키우는 마법의 말 ‘어떻게 생각하니?’ … 중략 … 허 교사는 “질의응답을 통해 자기주도력을 높이고, 다각도로 생각하는 힘을 키울 수 있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협업력·사회성도 기를 수 있다. 최대규 서울 남산초 수석교사는 “사소한 것이라도 ‘어떻게 생각하니?’하고 의견을 묻다 보면 아이가 대답을 찾는 과정에서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다른 사람 생각을 가늠하면서 소통력과 인성도 발달한다”고 설명했다. ◇방대한 교과 분량·선행학습이 질문을 집어삼켰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어떤 수업에서든 질문이 없을 수는 없다. 수업 내용을 이해했다면 한 걸음 더 나아간 내용이 궁금할 것이고, 이해 못 했다면 기초 지식에 대한 추가 설명 요청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김현섭 수업디자인연구소장에 따르면 보통 교과 양이 급격히 늘어나는 4학년부터 교실에서 질문이 사라지기 시작한다. 아이들이 새로운 개념 받아들이기에만 급급해진다는 것이다. 김 소장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습 목표를 줄였어야 했는데 교과서 쪽수만 줄였다. 해외에선 대학 때 배우는 미·적분이 여전히 고교 과정에 들어 있다”고 했다. 학습량이 많으니 교사는 진도 맞추기 바쁘고 학생들 사이에선 조용히 수업을 따라가야 한다는 무언(無言)의 합의가 이뤄진다. … 중략 … 이광형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겸 문술미래전략대학원장은 “당장 몇 년 후가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불확실한 시대다.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는 과정을 통해 전에 없던 새로운 것을 떠올리도록 하는 교육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세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