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최신교육동향

“4차 산업혁명 시대, 강력한 온라인 공개강의 플랫폼이 대안이다”2017-10-24,
첨부파일
[출처] 아시아경제_뉴스_2017. 10. 24.

“4차 산업혁명 시대,
강력한 온라인 공개강의 플랫폼이 대안이다”

소셜 미디어 세상인 스마트 시대에서 “플랫폼(platform)은 거래를 원하는 복수의 집단들을 연결해주는 놀이터”라고 할 수 있다. 일종의 촉매역할을 하는 매개체나 공간의 의미로 사용되어 오던 ‘플랫폼’이 이제는 모든 산업분야에서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교육분야에서는 대학과 전문 교육기관의 강의를 온라인에 무료로 공개해 전 세계 누구나 집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는 온라인 공개강좌 플랫폼인무크(MOOC)가 대표주자이다.

2012년 태동된 무크(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는 수강자 수의 제한이 없는 대규모 강의(Massive)로, 별도의 강의료 없이(Open) 인터넷(Online)으로 제공되는 교육과정(Course)이다. 웹을 통한 수강생의 무제한 참여와 개방을 목표로 온라인 글로벌 교육시장의 플렛폼을 구축해 세계적 석학들의 강좌들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질의응답, 과제, 토론 등 양방향(interactive) 학습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 외로 무크 플랫폼 형태로 운영되는 온라인 교육서비스 기관으로는 에덱스(edx,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과대 공동운영), 코세라(Coursera,스탠퍼드대와 예일대 및 카이스트 등 세계 100여개대학 공동운영), 유다시티(udacity, 실리콘밸리대학) 등이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도 2012년에 태동된 무크(MOOC)보다 훨씬 이전인 2007년부터 대학의 공개강의 서비스(KOCW)를 시작했다.

2012년 태동된 무크(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는 수강자 수의 제한이 없는 대규모 강의(Massive)로, 별도의 강의료 없이(Open) 인터넷(Online)으로 제공되는 교육과정(Course)이다. 웹을 통한 수강생의 무제한 참여와 개방을 목표로 온라인 글로벌 교육시장의 플렛폼을 구축해 세계적 석학들의 강좌들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질의응답, 과제, 토론 등 양방향(interactive) 학습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 외로 무크 플랫폼 형태로 운영되는 온라인 교육서비스 기관으로는 에덱스(edx,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과대 공동운영), 코세라(Coursera,스탠퍼드대와 예일대 및 카이스트 등 세계 100여개대학 공동운영), 유다시티(udacity, 실리콘밸리대학) 등이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도 2012년에 태동된 무크(MOOC)보다 훨씬 이전인 2007년부터 대학의 공개강의 서비스(KOCW)를 시작했다.

중략

디지털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누구나 자기주도적으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대에, 이러한 고비용의 선택적 제약은온라인 강의 컨테츠를 글로벌 교육시장으로 확대시키는 걸림돌로 모든 대학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개방형으로 전환되는 것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스마트 미디어 시대에서온라인 공개강의 성패는 양분되어 있는 플렛품을 하나의 강력한 교육 플렛폼으로 융합하는 것에 달려있다. 2007년부터 KERIS가 KOCW를 진행하면서 축적한 경험을 기반으로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케이무크와 적극적으로 논의해 하나의 강력한 대한민국의 온라인 강의 플렛폼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강력한 온라인 강의 플렛폼이 구축돼 고등교육 교수자들의 질 높은 강의 컨텐츠가플렛폼에 지속적으로 업로드 될 때, 글로벌 교육 시장의 동행자로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혁명을 성공적으로 완수 할 수 있다.

신종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고등교육연수원 교수

기사원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