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최신교육동향

[신년기획] 4차 산업혁명과 대학 ③ 4차 산업혁명 앞둔 대학들, 풀어야 할 과제는2017-01-26,
첨부파일
[출처] 한국대학신문_대학교육_2017. 1. 22.

4차 산업혁명 앞둔 대학들, 풀어야 할 과제는


융합교육·융합연구 아직 걸음마 단계…넘어야 할 산 많아

* 세계경제포럼 (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발표한 미래 일자리 변화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에 따라 2020년까지 200만 개의 일자리가 생기는 데 반해 710만 개 일자리가 줄어든다고 한다. 50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셈이다. 클라우스 슈바프 WEF 회장은 현재 우리가 4차 산업혁명 과정에 진입해 있고,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우리 삶이 근본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봤다.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 대학 내부에서 교육, 연구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대학 교수들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대비가 필요하고 대학이 어떤 방향으로 가야 4차 산업혁명이라는 파도를 넘을 수 있을지 3회에 걸쳐 들어보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 대비 대학들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을까. 창의 융합 교육이라는 이름 아래 인문계 학생들이 소프트웨어ㆍIT 관련 교육을 받거나 이공계열 학생들이 인문학 수업들 듣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런 수준의 수업은 학점 채우기형, 생색내기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대학 융합교육 및 융합연구 환경은 이제 걸음마 단계다.

■ 4차 산업혁명 대비한 대학교육 어디까지 왔나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 ‘창의 인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학생들이 주어진 지식을 외우는 것보다 어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하고 실제로 문제를 해결하는 체험식ㆍ토론식 교육이 중요한 상황이다.

중략

■ 산학협력 ‘보여주기 식’ 아닌 기업과 인재·연구 연계가 핵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학이 기업의 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역할도 필요하다. 기업과 대학의 연계로 ‘윈윈(win-win)효과’를 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중략

■ “미래를 이끌 인재가 부족하다” 위기감 고조…고급 연구인력 양성해야
대학 연구실에는 박사 후 연구원 과정이 부족해 인력난을 겪고 있다. 연구실에서 연구를 전문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박사 후 연구원 과정 등 고급 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중략

4차 산업혁명, ‘정치’는 빠지고 ‘연구’에 집중해야

주목받는 AI 과거엔 ‘찬밥’…장기적 안목으로 바라봐야
정치적 이용 말고 연구에 자율성 부여해야

신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정책을 쏟아내는 가운데 연구 일선에 있는 대학들은 유행을 좇듯 몰려가는 현 상황에 우려를 표시했다. 4차 산업혁명과 융합연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말고 장기적 안목에서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중략

마찬가지로 4차 산업혁명이 정치적 수단이 되면 곤란하다는 우려도 보였다. B대 교수는 “최근 4차 산업을 정치적으로 밀어붙이는 느낌이 강하다”며 “4차 산업이 정치적 슬로건이 되면 안 된다. 교육과 연구에 정치가 개입하면 무조건 망한다”고 말했다.

반면 국가가 나서서 집중 육성 전략 자체를 끌고 나가면서 장기적 투자가 병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C대 산학부총장은 “모든 정책이 자율적인 것은 좋을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국가가 발전 전략으로 둘 수 있다”면서 “미국은 국가적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교수 개인이 하기 어려운 분야가 있기 때문에 국가가 산업발전, 세계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국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투자도 하고 관련 교수들 연합 계획과 전략을 세우는 게 맞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김소연·구무서기자

기사원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