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교육동향
[시론] 학령인구 감소와 해외 교육시장 확대2017-03-05, |
---|
첨부파일 |
[출처] 한국대학신문_칼럼⋅기고_2017. 3. 5.학령인구 감소와 해외 교육시장 확대최근 학령기 학생 수 감소에 따라 대학들이 입학 정원을 감축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입학 정원 감축은 대학의 등록금 수익 감소로 이어지므로 작금 대학들은 어느 때보다도 큰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시장 경제적 논리로 본다면 기존의 입학 정원을 그대로 둔다고 해서 크게 문제 될 것은 없다. 실질적으로 입학하고 계속 학업을 유지하는 학생 수에 따라 등록금 수익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진짜 위기는 대학에 입학할 학생 수가 갈수록 줄어든다는 것이고 대학의 입학 정원은 상한선을 인위적으로 정해놓은 형식적 숫자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나 학령기 학생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기존 입학 정원을 그대로 두면 일부 수도권이나 지방 대도시에 있는 대학들에 입학생이 집중돼 지방의 교육이 붕괴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부의 인위적인 정원 감축정책은 수도권이나 지방 대도시의 대학들이 어느 정도는 감내해야 할 사항이 아닌가 한다. … 중략 … 해외에 오프라인 분교나 캠퍼스를 마련해 해외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 대학 재정 확충의 한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등교육 서비스 및 교육문화의 수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지만 상당한 대학재정 투입이 필요하고 투자에 대한 수익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대학 경영진으로서는 실행하기가 매우 어려운 사항이다. 그렇다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대학의 재정 투입이 많이 요구되지 않는 온라인 해외교육 방법이 있다. 해외 대학과 협력관계를 구축해 현지의 교사와 인력을이활용하면서 연계 교육과정이나 공동 교육과정 또는 아직 국내 고등교육법에 마련돼 있지는 않으나 장차 트위닝 시스템(Twinning System)을 온라인 과정으로 운영할 수 있으면 어렵지 않게 대학의 국제화와 재정 확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온라인 해외 분교나 캠퍼스를 구축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해외에서 최소한의 공간과 인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면 저렴하게 학사 시스템을 갖춰 온라인 해외 분교나 캠퍼스를 운용할 수 있다. 여기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온라인 교육 콘텐츠가 구비돼야 하는 것이다. 15주 장기 코스 외에도 3~5주 단기 코스 등 다양하고 목적 지향적인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갖춰야 정규 학위과정이나 직업교육을 무난히 제공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유의 개방형 코스웨어(K-OCW)를 마련해 가고 있으나 아직은 다양성 측면에서 부족한 형편이다. 그러나 국내 온·오프라인 대학이 이미 선도적인 온라인 고등교육의 노하우를 갖고 있으므로 대학들이 서로 협력해 콘텐츠를 개발하고 해외로 진출한다면 충분히 우리의 교육 영역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학령기 학생 수 감소의 위기를 국내에서의 경쟁보다는 해외 교육시장 확대로 극복하는 방법을 찾아야 할 때가 아닌가 한다. 김은기 숭실사이버대 부총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