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교육동향
[세상 읽기] 베블런의 대학과 미네르바 스쿨2016-12-16, |
---|
첨부파일 |
[출처] 한겨레_칼럼_2016. 8. 22.베블런의 대학과 미네르바 스쿨<유한계급론>으로 잘 알려진 소스타인 베블런(1857~1929)은 학자로서의 명성은 높았지만 평생을 대학 내의 ‘이방인’으로 보냈다. 오랜 기간 동안 강사 자리를 벗어나지 못했던 것, 임용 후에도 시카고·스탠퍼드·미주리·뉴욕사회과학원을 전전했던 것은 대학과의 불화 때문이었다. 괴팍한 성격이나 기행 등 개인적 차원의 문제도 있었다. 하지만 대학은 지식을 보존하고 확장하는 ‘학문의 전당’이자 학문 후속세대를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이어야 한다는 신념이 규모의 확대에 주력하던 당대의 대학과 부딪쳤던 게 더 큰 원인이었다. … 중략 … 대학은 학문의 전당이고 대학의 사명은 학문 후계자 양성에 있다는 베블런의 주장은 틀렸다. 오늘날 사회가 요구하는 것은 더 많은 배움의 기회를 주는 것이며, 대학은 새로운 방식을 동원해 문호를 더 개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학이 진정으로 필요한 지식을 제공할 수 있고, 미네르바 스쿨과 같은 혁신적 ‘기업’의 도전에 맞서 살아남을 수 있으려면, 영리기업가보다 더 절실한 문제의식과 더 강력한 동기와 더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요구된다. 관건은 대학의 주인임을 자처하는 교수들이 교육의 영역에서 ‘한가로운 호기심’과 ‘장인본능’의 빛을 학생들과 함께 얼마나 밝게 만들 수 있을지에 달려 있다. 그렇지 않다면 이화여대 ‘미래라이프대학’ 사태가 때와 장소를 달리해서 반복되고, 대학의 주인이었던 학자들이 그 자리를 ‘세속적 인간’들에게 내줘야 할지도 모른다. 박종현 경남과학기술대 경제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