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교육동향
대학의 변화와 사이버대학의 출구2016-12-20, |
---|
첨부파일 |
[출처] 한국대학신문_칼럼·기고_2016. 11. 6.대학의 변화와 사이버대학의 출구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대학도 그 교육방식의 변화를 겪고 있다. 고등교육 분야에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또 대학에 등록하는 학생이 전 세계적으로 줄어들면서 전통적인 대학들은 미래에 대비해 교육방식의 적절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교육방식의 변화가 광범위하고 또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일부에 그치거나 미래지향적이지 않게 이루어지고 있어 안타깝다. 대학이 변화에 대응하는 것에 미온적인 경우 결과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즈음 대학이 겪는 변화의 요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대강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지식을 접하는 것이 자유롭고 용이하다는 것이다. 종전에는 대학이 독점적으로 지식을 창출하고 축적하고 또 확산시켰다. 하지만 지금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아무나 쉽고 광범위하게 지식을 접할 수 있게 됐다. 단순히 사실이나 수치를 파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식의 분석, 해석 그리고 종합적 판단까지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선진국이건 개발도상국이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둘째, 교육시장 및 재정 확보에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정부의 재정지원은 갈수록 한계에 부딪치고 있고, 기업이나 개인의 기부도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학령인구 감소로 학생유치도 국제적으로 경쟁이 높아지고 있다. 셋째, 디지털 기술이 교육방식에 개입하고 있다. 무크(MOOCs)나 온라인 교육방식 나아가 전통적인 교육방식과 온라인 교육방식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러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이 교실을 통째로 대체하지는 않겠지만 대학이나 관련 산업에서 부가가치가 생산되는 방식이다. 예컨대 콘텐츠 생산, 콘텐츠 수집, 지식의 대량 전파, 이수 증명, 나아가 교육의 상업화 등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는 것이다. 넷째, 교육서비스의 국제적 이동성의 증가이다. 학생들은 말할 것도 없고 교직원이나 대학을 포함한 교육서비스 제공자도 해외로 움직이며 나아가 대학 브랜드까지도 해외 분교나 캠퍼스의 형태로 해외로 나가고 있다. … 중략 … 전통적인 대학과 사이버대학의 이합집산, 선택과 집중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무릇 경제 발전과 마찬가지로 대학 발전도 온갖 요인들이 함께 해결되고 필요한 것들이 다 함께 개선돼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대학과 사이버대학이 당장은 제각기 발전방향을 모색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융합적인 발전을 도모해나가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김은기 숭실사이버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