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교육동향
과학교육을 다시 생각한다2017-05-08, |
---|
첨부파일 |
[출처] 동아사이언스_뉴스_2017. 5. 8.과학교육을 다시 생각한다한국적 상황의 특수함 때문에 과학기술은 줄곧 경제성장과 산업발전의 도구로 이해되어 왔다. 물론 과학의 응용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관점이 무조건 틀린 것은 아니겠지만 문제는 그것의 편협함에 있다. 과학의 오래된 역사를 거슬러 살펴보면 과학은 그 응용을 통해 편리와 풍요를 추구하고자 하는 열망의 결과물이기에 앞서 인간을 포함한 자연의 본성과 무궁무진한 변화에 대한 쉼 없는 질문과 그것에 대답하면서 마주하게 되는 성찰의 과정들이었다. 역사 속에서 과학은 인간이 세상을 보다 폭넓고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도와왔을 뿐 아니라 인간이 그 세상과 어떻게 적절히 조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모색하는 과정에서 길잡이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할 때 우리 과학교육에 꼭 있어야 할 요소 가운데 놀랍게도 빠져 있는 네 가지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이를 중심으로 한국 과학교육이 앞으로 지향했으면 하는 방향에 대해 짚어 보고자 한다. … 중략 … ●둘째, 비이공계학생들에 대한 광범위한 과학교양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그러함에도 과학교육에서 차지하는 실험의 위상을 고려한다면 국가적 차원에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는 게 마땅하다. 우선 개별 학교에서 실험활동의 비중을 높일 수 있는 시설 지원 및 교과과정 편재의 개선이 이뤄져야 하며, 더 나아가 실험활동에 필요한 요소를 갖추어 가급적 많은 일선 중고등학교에서 과학실험활동을 진행하기 위해 정부출연연구소, 지역 거점대학, 기업 연구소, 과학관 등의 단체들이 협력해 교육 계획(education initiative)을 구축하는 노력이 국가적 수준에서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중략 … ●넷째, 변화하는 사회에 조응하는 진로설계프로그램이 교과과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처럼 직군이 단순한 현실 양상은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이 다양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를 우리 사회가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 과학기술이 현대 사회에 미치는 지대한 영향력에 상응하여 과학기술의 역할은 다양한 정보와 지식의 소통(과학저널리스트), 과학의 대중화(과학커뮤니케이터), 과학기술의 사회적 적용(과학기술 컨설턴트), 과학기술 정책의 기획(과학기술 정책가), 과학과 예술의 접목(과학예술가) 등과 같이 다변화되어야 한다. 또한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통해 내적으로 끊임없이 분기하고 신생하는 다양한 역할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직군들에 대해 심층적인 분석을 해야 할 필요성이 갈수록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다변화 요소들에 잘 조응하는 진로설계프로그램이 이공계 대학, 대학원에서 기획되고 교육과정에 편입되어 교육되어야 하는 것은 긴급한 시대적 요청이다. 이러한 논의 및 대응방안 모색에는 개인이나 개별화된 단체들의 노력과 더불어 국가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남창훈 DGIST 융복합대학 기초학부 교수 |